영T의 영어문법 40

to부정사와 현재분사의 명사 수식: 차이점과 주의 사항

to부정사와 현재분사의 명사 수식: 차이점과 주의 사항영어에서 to부정사와 현재분사는 둘 다 명사를 뒤에서 수식하여 형용사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to부정사는 미래 지향적인 의미를 갖고, 현재분사는 능동적이고 진행적인 의미를 갖기 때문에 명사를 수식할 때 의미적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문맥에 따라 적절한 형태를 사용해야 합니다.  1. to부정사의 명사 수식to부정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는 '~할', '~하기 위한'으로 해석되며, 앞으로 발생할 행위나 상태를 나타냅니다.예문:I have a lot of work to do today. (오늘 할 일이 많다.) - 앞으로 해야 할 일She has a dream to become a doctor. (그녀는 의사가 되려는 꿈을 가지고 있다.) - ..

전치사 of의 다양한 의미

전치사 of의 다양한 의미와 예문들전치사 of는 영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전치사 중 하나이지만, 그만큼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of가 갖는 여러 의미를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주요 의미들을 몇 가지 범주로 나누어 예시와 함께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소유/소속/관련'~의' 라는 의미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경우입니다.the legs of the table (테이블의 다리)a member of the team (팀의 일원)the history of Korea (한국의 역사)the author of the book (책의 저자)the name of the dog (개의 이름)the capital of France (프랑스의 수도)a student of this ..

The note is heard loud and clear. 는 맞는 문장입니까? loudly와 clearly를 써야하지 않나요?

23년 9월 37번 고1 영어 모의고사 But if you attach a string to a big hollow box (like a guitar body), then the vibration is amplified and the note is heard loud and clear.  학생의 질문은 the note is heard loud and clear. 이문장에서the note is heard는 수동태의 문장으로 문장이 완벽한데 왜 loud and clear가 형용사로 쓰였냐는 것이다. loudly and clearly 처럼 부사로 써야 하는 것이 아닌가? 라는 질문이다. 1형식 ~5형식 이렇게 문법을 틀에 맞춰서 공부하다 보면 이런 아이러니가 생기게 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is heard는 ..

전치사 in과 within의 차이

전치사 in과 within은 둘 다 시간이나 공간 내에 존재함을 나타내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1. 시간in: 특정 시간, 기간, 또는 시점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예: in a week (일주일 후에), in 2024 (2024년에), in the morning (아침에)within: 특정 시간 내에, 즉 마감 시한을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예: within a week (일주일 이내에), within an hour (한 시간 이내에)2. 공간in:어떤 공간 안에 있음을 나타냅니다.경계가 명확한 경우 사용합니다.예: in the room (방 안에), in the box (상자 안에)within:어떤 공간의 경계 내에 있음을 나타냅니다.좀 더 넓은 범위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예: within t..

comprise, compose, make up, consist of 사용법 완벽 정리!

안녕하세요!영T입니다.  ~을 구성하다로 쓰이는 표현인데 조금 더 깊게 들어가면 헷갈리기 쉬운 표현입니다. 결론 부터 말씀드리자면 주어를 전체로 놓을거냐 부분으로 놓을거냐에 따라서 달라집니다.한가지 주의해야할 점은 바로 comprise의 사용입니다. com(함께)+prise(잡다)  어원은 함께 잡고 있다 입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comprise 와 be comprised of는 똑같이 사용됩니다. 즉 다시말해전체 comprise 부분 전체 be comprised of 부분 이렇게 둘다 사용되는 것이죠. 이는 메리엠 웹스터 사전에도 사용법으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사실상 이는 엄격한 문법학자들에게는 받아 들일 수 없는 내용입니다. 전체 comprise 부분을 수동태로 전환하면부분 be comp..

15가지 문장의 구성 성분 및 수식어

안녕하세요! 영T 입니다. 제가 예비고1이나 문법이 완벽하게 정립되지 않은 친구들에게 강의를 할 때 가장 강조하고 꼭 이해하게끔 만드는 부분입니다. 이 15가지의 문장 성분과 수식어를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 문장의 구조가 보입니다.  각각의 예문들을 한번 살펴보시죠!  〓문장 성분과 수식어로 올 수 있는 15가지 예문들1. 동명사구 Studying English with Ben2. to부정사구To study Engish with Ben3. 의문사 to부정사구 How to study English with Ben4. that절 That you study English with Ben5. whether/if 절 Whether you study English with Ben6. 관계대명사 what절 What..

make 사역동사가 목적보어 자리에 to부정사를?

안녕하세요.오늘은 24년 고2 11월 34번 문항에 대한 문법 설명입니다. 한 학생이 이렇게 질문을 했어요. 밑에 하이라이트 된 부분의 make는 사역동사이고 목적보어 자리에 동사원형이 와야 하는데 왜 to 부정사가 오는 것인가? 아주 좋은 질문입니다. 문장의 구조를 정확하게 보고 있는 눈이 생긴 반증이니까요!   위 문제에서 make는 실제로 만들다 즉 강제로 시키거나 상황을 만든 것이 아니라. 진짜로 만들었다는 3형식의 동사로 쓰인 겁니다. 다시 말해 to 부정사는 앞에 명사 mice를 수식하는 형용사적 용법으로 사용된 것이죠.  문맥의 내용 상 해석은 이 것이 자연이 평균적으로 2년 이하를 사는 쥐를 만든 이유다. 가 되겠습니다. 영어 문장을 작성할 때 저 문장을 단독으로 놓고 보면 당연히 이상한 ..

As well as 의 사용법

학교문법에서  Not only A but also B는B as well as A라고 우리는 암기한다. 틀린말은 아니다. 하지만 더 깊게 들어가면 사용법에 있어서 주의해야 한다. Practical English Usage, Oxford대학교 시절부터 아직까지 참고하는 서적!  2. as well asas well as는 '뿐만 아니라'라는 의미를 가지며, 두 가지 이상의 대상을 나열할 때 사용된다. 이는 not only ... but also와 비슷한 의미로 쓰인다.예시:"She’s got a goat, as well as five cats and three dogs.""He’s clever as well as nice."(그는 착할 뿐만 아니라 똑똑하기도 하다.)또한, 잘 알려진 정보(구정보)를 먼저 언..

주어 대 주어 상승(Subject-to-Subject Raising)

주어 대 주어 상승(Subject-to-Subject Raising)에 대한 자세한 설명주어 대 주어 상승(Subject-to-Subject Raising, 줄여서 SSR)은 특정 동사 또는 형용사가 이끄는 문장에서 하위절의 주어가 상위절의 주어 자리로 이동하는 문법 현상을 말합니다.SSR의 예시:It seems that John is happy. (John이 행복한 것 같다.) -> John seems to be happy. (John은 행복해 보인다.)첫 번째 문장에서 'John'은 하위절 'that John is happy'의 주어입니다. 두 번째 문장에서는 'John'이 상위절의 주어 자리로 이동하여 'seems'의 주어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형이 바로 SSR입니다.SSR을 일으키는 동사/형용사..

가산명사 vs 불가산명사

영어에서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 이해하기영어를 배우다 보면 명사는 크게 **가산명사(countable nouns)**와 **불가산명사(uncountable nouns)**로 나뉩니다. 두 가지 개념은 영어 문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각 명사에 맞는 적절한 관사와 수량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 명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가산명사 (Countable Nouns)가산명사는 셀 수 있는 명사입니다. 쉽게 말해, 하나, 둘, 셋과 같이 개수를 셀 수 있는 명사를 말해요. 가산명사는 단수와 복수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복수형일 때는 주로 's'나 'es'를 붙입니다.예시:단수: a book, a car, a dog복수: two books, three cars, many do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