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어 대 주어 상승(Subject-to-Subject Raising)에 대한 자세한 설명
주어 대 주어 상승(Subject-to-Subject Raising, 줄여서 SSR)은 특정 동사 또는 형용사가 이끄는 문장에서 하위절의 주어가 상위절의 주어 자리로 이동하는 문법 현상을 말합니다.
SSR의 예시:
- It seems that John is happy. (John이 행복한 것 같다.) -> John seems to be happy. (John은 행복해 보인다.)
첫 번째 문장에서 'John'은 하위절 'that John is happy'의 주어입니다. 두 번째 문장에서는 'John'이 상위절의 주어 자리로 이동하여 'seems'의 주어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형이 바로 SSR입니다.
SSR을 일으키는 동사/형용사:
- seem, appear (…인 것 같다)
- happen, turn out (…하게 되다)
- be likely, be certain (…할 것 같다, …할 것이 틀림없다)
- be sure, be bound (반드시 …하다)
SSR의 특징:
- 의미 변화: SSR이 일어나도 문장의 의미는 크게 변하지 않습니다. 다만, SSR을 통해 상위절 동사/형용사가 하위절 내용에 대한 화자의 태도나 판단을 나타내는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 하위절의 형태: SSR은 주로 'that'절이나 'to-부정사'절을 하위절로 갖는 문장에서 발생합니다.
- 의미상 주어: SSR이 일어난 문장에서 상위절의 주어는 하위절 동사의 의미상 주어 역할을 합니다. 즉, 위 예시에서 'John'은 'be happy'의 의미상 주어입니다.
SSR과 주어 통제(Subject Control)의 구분:
- 주어 통제: 상위절의 주어가 하위절 동사의 의미상 주어를 '통제'하는 현상 (ex: John wants to leave. - John이 떠나고 싶어한다.)
- 주어 상승: 하위절의 주어가 상위절로 '상승'하는 현상 (ex: John seems to be happy. - John은 행복해 보인다.)
ssr 예시문:
1. seem, appear (…인 것 같다)
- 기본 구조: It seems/appears that + 주어 + 동사
- SSR 적용 구조: 주어 + seems/appears to + 동사원형
- 예시:
- It seems that he is sick. (그는 아픈 것 같다.)
- -> He seems to be sick.
- It appears that they are happy. (그들은 행복해 보인다.)
- -> They appear to be happy.
2. happen, turn out (…하게 되다)
- 기본 구조: It happens/turns out that + 주어 + 동사
- SSR 적용 구조: 주어 + happens/turns out to + 동사원형
- 예시:
- It happened that she won the lottery. (그녀는 우연히 복권에 당첨되었다.)
- -> She happened to win the lottery.
- It turned out that he was the culprit. (그는 범인으로 밝혀졌다.)
- -> He turned out to be the culprit.
3. be likely, be certain (…할 것 같다, …할 것이 틀림없다)
- 기본 구조: It is likely/certain that + 주어 + 동사
- SSR 적용 구조: 주어 + is likely/certain to + 동사원형
- 예시:
- It is likely that it will rain tomorrow. (내일 비가 올 것 같다.)
- -> It is likely to rain tomorrow.
- It is certain that they will succeed. (그들은 반드시 성공할 것이다.)
- -> They are certain to succeed.
4. be sure, be bound (반드시 …하다)
- 기본 구조: 주어 + is sure/bound + to-부정사
- SSR 적용 구조: (동일)
- 예시:
- He is sure to come back. (그는 반드시 돌아올 것이다.)
- She is bound to win the game. (그녀는 반드시 게임에서 이길 것이다.)
참고:
- 위 예시들은 모두 하위절의 주어가 상위절로 이동하여 주어 역할을 하는 SSR 구문입니다.
- SSR은 문장의 의미를 크게 바꾸지 않으면서, 상위절 동사/형용사를 통해 화자의 태도나 판단을 나타내는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 SSR은 주로 'that'절이나 'to-부정사'절을 하위절로 갖는 문장에서 발생합니다.
SSR의 이해를 돕기 위한 추가 설명:
- 'It seems that he is sick.' 에서 'It'은 가주어, 'that he is sick'은 진주어입니다. SSR을 통해 진주어의 주어인 'he'가 상위절로 이동하여 'He seems to be sick'과 같이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SSR은 문장의 의미를 크게 바꾸지 않지만, 미묘한 뉘앙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t is likely that it will rain tomorrow'는 단순히 내일 비가 올 가능성을 나타내는 반면, 'It is likely to rain tomorrow'는 화자가 내일 비가 올 가능성을 더 확신하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 It appears that the company is in trouble. (그 회사는 곤경에 처한 것으로 보인다.)
- The company appears to be in trouble.
마찬가지로, 두 문장 모두 '그 회사가 곤경에 처한 것 같다'는 의미를 전달하지만, SSR을 적용한 두 번째 문장은 '그 회사' 자체에 대한 화자의 판단을 더 강조하는 느낌을 줍니다. 첫 번째 문장은 '그 회사가 곤경에 처했다'는 상황에 대한 객관적인 관찰에 가까운 반면, 두 번째 문장은 화자가 '그 회사'의 상태에 대해 더 직접적인 판단을 내리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 It is likely that she will win the award. (그녀가 상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 She is likely to win the award.
두 문장 모두 '그녀가 상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를 전달하지만, SSR을 적용한 두 번째 문장은 화자가 '그녀'의 수상 가능성에 대해 더 강한 확신을 가지고 있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첫 번째 문장은 '그녀의 수상'이라는 사건 자체에 대한 가능성을 언급하는 반면, 두 번째 문장은 '그녀'라는 사람 자체가 수상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강조하는 느낌을 줍니다.
결론
SSR을 적용하면 문장의 의미는 크게 변하지 않지만, 미묘한 뉘앙스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SSR을 통해 화자는 특정 대상이나 사건에 대한 자신의 태도나 판단을 더욱 분명하게 드러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뉘앙스 차이를 이해하고 활용하면 더욱 효과적이고 자연스러운 영어 표현이 가능해집니다.
'영T의 영어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prise, compose, make up, consist of 사용법 완벽 정리! (0) | 2024.10.02 |
---|---|
15가지 문장의 구성 성분 및 수식어 (0) | 2024.10.02 |
make 사역동사가 목적보어 자리에 to부정사를? (0) | 2024.10.02 |
As well as 의 사용법 (0) | 2024.09.27 |
가산명사 vs 불가산명사 (1) | 2024.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