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5

As well as 의 사용법

학교문법에서  Not only A but also B는B as well as A라고 우리는 암기한다. 틀린말은 아니다. 하지만 더 깊게 들어가면 사용법에 있어서 주의해야 한다. Practical English Usage, Oxford대학교 시절부터 아직까지 참고하는 서적!  2. as well asas well as는 '뿐만 아니라'라는 의미를 가지며, 두 가지 이상의 대상을 나열할 때 사용된다. 이는 not only ... but also와 비슷한 의미로 쓰인다.예시:"She’s got a goat, as well as five cats and three dogs.""He’s clever as well as nice."(그는 착할 뿐만 아니라 똑똑하기도 하다.)또한, 잘 알려진 정보(구정보)를 먼저 언..

주어 대 주어 상승(Subject-to-Subject Raising)

주어 대 주어 상승(Subject-to-Subject Raising)에 대한 자세한 설명주어 대 주어 상승(Subject-to-Subject Raising, 줄여서 SSR)은 특정 동사 또는 형용사가 이끄는 문장에서 하위절의 주어가 상위절의 주어 자리로 이동하는 문법 현상을 말합니다.SSR의 예시:It seems that John is happy. (John이 행복한 것 같다.) -> John seems to be happy. (John은 행복해 보인다.)첫 번째 문장에서 'John'은 하위절 'that John is happy'의 주어입니다. 두 번째 문장에서는 'John'이 상위절의 주어 자리로 이동하여 'seems'의 주어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형이 바로 SSR입니다.SSR을 일으키는 동사/형용사..

가산명사 vs 불가산명사

영어에서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 이해하기영어를 배우다 보면 명사는 크게 **가산명사(countable nouns)**와 **불가산명사(uncountable nouns)**로 나뉩니다. 두 가지 개념은 영어 문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각 명사에 맞는 적절한 관사와 수량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 명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가산명사 (Countable Nouns)가산명사는 셀 수 있는 명사입니다. 쉽게 말해, 하나, 둘, 셋과 같이 개수를 셀 수 있는 명사를 말해요. 가산명사는 단수와 복수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복수형일 때는 주로 's'나 'es'를 붙입니다.예시:단수: a book, a car, a dog복수: two books, three cars, many dog..

반응형